IT탐험

스태시(stash) 본문

공부내용정리/Git

스태시(stash)

watercase 2021. 12. 27. 13:23
  • 스태시란 커밋되지 않은 변경 내용을 별도의 스택 영역에 잠시 보관하는 기능임
    • 브랜치간 이동은 워킹 디렉터리와 스테이지에 작업중인 내용이나 커밋되지 않은 변경 사항들이 없는 깨끗한 상태여야 가능한데, 스태시를 활용하면 기존 작업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이동할 수 있음
    • 스태시 명령 실행 시 현재 작업중인 내용은 임시 저장되고, 수정 전 마지막 커밋 상태로 돌아감
    • <!-- 스태시 생성 -->
      git stash
      
      <!-- 스태시에 이름을 명명 -->
      git stash sava "이름"
      
      <!-- stage 영역의 파일들은 제외하고 스태시 생성 -->
      git stash --keep-index
      
      <!-- untracked 파일들을 포함하여 스태시로 생성 -->
      git stash --include-untracked
      git stash -u
      
      <!-- 스태시에 저장된 스택을 확인 -->
      git stash list
      
      <!-- 현재 워킹 디렉터리 내용과 스태시된 내용 간 파일변화를 간략하게 출력 -->
      git stash show
      
      <!-- 스태시에 임시 저장된 작업내용을 가져오고 스택에서 제거 -->
      git stash pop
      
      <!-- 스태시에 임시 저장된 작업내용을 복사 -->
      git stash apply
      
      <!-- 스태시 삭제 -->
      git stash drop
Comments